- HOME
- 전자연구노트
- 소개
소개
연구노트란?
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통하여 얻은 정보, 데이터,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자료를 말한다.
※ 「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(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1-102호)」
※ 「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(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1-102호)」
R&D 발굴 및 기획
- 연구의 착상(아이디어)
- 선행 기술 연구
(특허, 논문, 과거 연구기록) - 기획안 회의자료
R&D 수행
- 실험 데이터
(재료, 장비, 환경조건, 방법, 진행과정) - 실험 결과
- 중간보고서, 회의자료
R&D 활용 및 관리
- 특허출원, 논문
- 기술이전
- 연구개발 단계(수행과정)
- 평가 활용
- 연구보고서
연구노트의 필요성
-
연구윤리 측면
- 해외 주요 학술지의 논문게재 시 연구노트 제출요구에 대응 가능
- 연구의 진실성 입증을 위한 증거자료이자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가능토록 함
-
기록관리 측면
- 연구노하우 전수와 연구지속성 유지
- ※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 준수를 위해 연구노트 작성기준에 맞추어 기록할 필요가 있음
-
지식재산권 보호 측면
- 선사용권을 인정하는 우리나라(특허법 제 103조) ⇒ 부정경쟁방지와 영업비밀 보호법으로 연구노트에 기록된 영업비밀을 보호
- 연구성과나 지분의 책정을 위한 중요한 증거기록이 됨
연구노트의 활용
-
연구계획, 과정 및 성과의 기록
- 아이디어 및 노하우, 실험데이터, 연구계획 등 수록 가능
- 논문 및 특허출원자료 작성 등의 기초자료가 됨
- 연구노트를 통한 프로제그 관리 가능 (과제책임자)
- 과제참여자간의 연구결과 공유 및 토론의 수단이 됨
-
지식과 노하우의 전수
- 후발연구자의 후속연구 진행을 위한 교재로 활용 됨
- 숙련기술의 전수 및 연구자간의 지식 전수의 역할
-
독자적 연구활동의 증거
- 연구의 독자정 증명 수단이 됨
- 연구의 노하우 전수로 인하여 '독자성을 가진 연구실'이 됨
-
저자와 발명자의 특정
- 발명자 서명, 증인 서명, 기록된 날짜를 통해 실제 발명가를 가려낼 수 있음
- 공동연구 시 연구노트 분석을 통해 권리의 귀속과 지분비율 책정에 활용 됨 (발명자를 둘러싼 분쟁 해소)
-
연구개발 결과의 보호
- 특허법 개정을 통해 출원일 선점을 위한 명세서 기재 요건을 약화되어 연구노트로 특허 출원
-
연구 수행과정 평가에서 연구노트의 활용
- 연구 수행과정 평가 과정에서 '연구수행 방법 및 과정의 적절성' 평가지표의 기술개발과정에 대한 자료 및 데이터가 충실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'연구노트'를 제출 및 확인
- 연구 수행과정 평가 과정에서 연구노트 제출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, 연구수행 全 과정의 자세한 기록을 통해 연구의 충실한 수행을 확인할 수 있는 '연구노트'의 충실한 작성 필요
연구노트 관련 법령 및 지침
- 국가개발혁신법 「제35조(연구개발과제의 성실 수행) 제2항, 제3항」
-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「제65조(연구노트의 작성·관리 및 활용 촉진) 제1항, 제2항」
-
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
-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수행을 통해 얻은 정보, 데이터, 노하우 등을
체계적으로 관리,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노트 작성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 -
교내 「연구노트 작성·관리에 관한 규정」
- 연세대학교 연구자의 연구노트의 작성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