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HOME
  • 전자연구노트
  • 소개

소개

연구노트란?

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통하여 얻은 정보, 데이터,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자료를 말한다.
※ 「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(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1-102호)」
R&D 발굴 및 기획
  • 연구의 착상(아이디어)
  • 선행 기술 연구
    (특허, 논문, 과거 연구기록)
  • 기획안 회의자료
R&D 수행
  • 실험 데이터
    (재료, 장비, 환경조건, 방법, 진행과정)
  • 실험 결과
  • 중간보고서, 회의자료
R&D 활용 및 관리
  • 특허출원, 논문
  • 기술이전
  • 연구개발 단계(수행과정)
  • 평가 활용
  • 연구보고서

연구노트의 필요성

  • 연구윤리 측면
    • 해외 주요 학술지의 논문게재 시 연구노트 제출요구에 대응 가능
    • 연구의 진실성 입증을 위한 증거자료이자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가능토록 함
  • 기록관리 측면
    • 연구노하우 전수와 연구지속성 유지
    • ※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 준수를 위해 연구노트 작성기준에 맞추어 기록할 필요가 있음
  • 지식재산권 보호 측면
    • 선사용권을 인정하는 우리나라(특허법 제 103조) ⇒ 부정경쟁방지와 영업비밀 보호법으로 연구노트에 기록된 영업비밀을 보호
    • 연구성과나 지분의 책정을 위한 중요한 증거기록이 됨

연구노트의 활용

  • 연구계획, 과정 및 성과의 기록
    • 아이디어 및 노하우, 실험데이터, 연구계획 등 수록 가능
    • 논문 및 특허출원자료 작성 등의 기초자료가 됨
    • 연구노트를 통한 프로제그 관리 가능 (과제책임자)
    • 과제참여자간의 연구결과 공유 및 토론의 수단이 됨
  • 지식과 노하우의 전수
    • 후발연구자의 후속연구 진행을 위한 교재로 활용 됨
    • 숙련기술의 전수 및 연구자간의 지식 전수의 역할
  • 독자적 연구활동의 증거
    • 연구의 독자정 증명 수단이 됨
    • 연구의 노하우 전수로 인하여 '독자성을 가진 연구실'이 됨
  • 저자와 발명자의 특정
    • 발명자 서명, 증인 서명, 기록된 날짜를 통해 실제 발명가를 가려낼 수 있음
    • 공동연구 시 연구노트 분석을 통해 권리의 귀속과 지분비율 책정에 활용 됨 (발명자를 둘러싼 분쟁 해소)
  • 연구개발 결과의 보호
    • 특허법 개정을 통해 출원일 선점을 위한 명세서 기재 요건을 약화되어 연구노트로 특허 출원
  • 연구 수행과정 평가에서 연구노트의 활용
    • 연구 수행과정 평가 과정에서 '연구수행 방법 및 과정의 적절성' 평가지표의 기술개발과정에 대한 자료 및 데이터가 충실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'연구노트'를 제출 및 확인
    • 연구 수행과정 평가 과정에서 연구노트 제출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, 연구수행 全 과정의 자세한 기록을 통해 연구의 충실한 수행을 확인할 수 있는 '연구노트'의 충실한 작성 필요

연구노트 관련 법령 및 지침

  • 국가개발혁신법 「제35조(연구개발과제의 성실 수행) 제2항, 제3항」
  •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「제65조(연구노트의 작성·관리 및 활용 촉진) 제1항, 제2항」
  •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
    -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수행을 통해 얻은 정보, 데이터, 노하우 등을
      체계적으로 관리,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노트 작성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
  • 교내 「연구노트 작성·관리에 관한 규정」
    - 연세대학교 연구자의 연구노트의 작성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